과학 4

컴퓨터 세대의 발전 1세대부터 현재

컴퓨터는 사용한 소자에 따라 세대를 분류합니다. 현재의 컴퓨터는 5세대이며 넓게는 4세대까지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 1세대 진공관 세대. 에니악이라는 컴퓨터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을 것입니다. 1946년 프레스퍼 에커트와 존 모클리가 18,800개의 진공관을 사용해 에니악을 만들었습니다. 미사일의 탄도학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에니악은 크기가 엄청나기로 유명하죠. 길이 24미터 무게는 30톤, 2층 건물 수준의 높이까지 굉장한 크기였습니다. 그런데 이 에니악은 당시로서는 매우 빠른 연산을 해내는 컴퓨터였습니다. 1초에 3천여 개의 두 숫자의 곱셈 연산할 수 있었습니다. 연산 속도는 0.001초(1ms) 정도입니다. 기본 회로 소자로 진공관을 사용했기에 1세대(진공관 세대) 컴퓨터입니다. 진공관은..

과학 2023.01.18

생물지리학과 진화생물학

대부분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동식물들에 대해서 익숙합니다.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동식물들만 해도 다양하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어느 나라의 사람들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개와 고양이, 새, 모두 익숙하게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공통적이라고 볼 수 있는데 자세히 따져보면 완전 같지는 않습니다. 모두에게 익숙한 동물과 식물들이지만 같은 동물이라도 서로가 알고 있는 모습이 조금 다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개라는 동물을 떠올려 볼 때 우리가 아프간하운드를 떠올리는 경우는 서양에 비해 적습니다. 또한 얼룩말은 3가지의 세부 종이 있지만 아프리카대륙에서만 서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얼룩말이 서식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없습니다. 하지만 아프리카의 국가들에선 일상에서 얼룩말을 보기도 하죠..

과학 2023.01.15

다양한 관측천문학

천문학은 하늘에 떠 있는 혹은 지구 대기권 바깥 영역의 현상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모든 학문 중 천문학이 인류에게 가장 먼저 태동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역사시대 모든 고대 문명들에는 천문학을 연구한 유물들이 있으며 선사시대에도 천문학 유적이 있었습니다.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까지는 눈으로 밤하늘을 관찰하는 것이 전부였습니다. 그러다 망원경이 발명된 시기부터 천문학은 현대과학으로 자리 잡기 시작합니다. 훨씬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되었으며 20세기부터 이론 천문학과 관측천문학으로 두 분야로 구분되게 되었습니다. 이번엔 눈으로 하늘을 보며 연구하던 행동들이 얼마나 발전되었는지 현대 관측천문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천문학에서 천체는 가시광 영역과 그 밖의 파장(ex.전자기파장) 등의 정보를 줍니다...

과학 2023.01.12

근육수축의 원리

우리가 생각하는 대로 근육은 움직입니다. 손을 뻗고자 했을 때 손을 뻗게 되고 고개를 돌리고자 하면 고개를 돌리게 됩니다. '생각'에서 직접적인 '움직임'이 된다는 것이 신기하고 흥미롭습니다. 동물생리학에서 정의된 근육의 수축과 이완 과정은 화학물질의 작용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말합니다. 움직이고자 하는 '의지'가 어떻게 현실의 움직임이 되는지는 알지 못합니다. 하지만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물질과 근육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먼저 근육의 구조는 큰 범위부터 시작하자면 뼈에 붙은 근육 골격근을 시작으로 골격근을 감싸고 있는 근 외막이 먼저이며 근 외막 안에는 근섬유다발이 있고 근섬유다발은 근섬유로 구성돼 있고 그 근섬유들은 몇 가닥씩 근섬유막에 둘러싸인 채로 있습니다. 근섬유는 실 같은 ..

과학 2023.01.12